20대·30대를 위한 연금 준비법: IRP와 연금저축 총정리

Leonardo Phoenix 10 A young Korean office worker in their 20s 3

“연금은 40대부터?” 아닙니다.
연금 준비는 빠를수록 유리합니다. 특히 20대·30대가 지금 바로 준비하면, 절세 혜택은 물론 노후 자산까지 일찍 챙길 수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**IRP(개인형 퇴직연금)**과 연금저축의 차이점과 활용법을 초보자 눈높이에서 정리해드립니다.


연금저축이란?

연금저축은 노후 대비용 장기 투자 상품입니다.
매년 최대 400만 원까지 납입 가능하며, 납입액의 16.5%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.

  • 예시: 연 400만 원 납입 시 → 최대 66만 원 세금 환급
  • 주식형/혼합형 펀드, 예금, 보험 등 다양한 형태로 운용 가능
  • 55세 이후 연금 수령 가능

장점: 투자 + 절세 + 노후 준비를 한 번에
단점: 중도 해지 시 세금 추징


IRP(개인형 퇴직연금)란?

IRP는 원래 직장인의 퇴직금을 관리하던 통장이지만, 이제는 누구나 가입 가능개인 연금 계좌입니다.

  • 연금저축과 마찬가지로 연 최대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 혜택 가능
  • 연금저축과 IRP 합산 공제 한도는 700만 원 (단, 연금저축은 400만 원 한도)
  • 예: 연금저축 300만 원 + IRP 400만 원 → 최대 절세 효과

특히 프리랜서나 자영업자도 가입 가능하다는 점에서 유용합니다.


IRP vs 연금저축, 뭐부터 해야 할까?

구분연금저축IRP
가입 대상누구나 가능누구나 가능
세액공제 한도400만 원700만 원 (연금저축 포함)
중도 인출일부 가능원칙적으로 불가
운용 방식펀드, 예금, 보험 등펀드, 예금 등

추천 조합
→ 연금저축 400만 원 + IRP 300만 원 → 세액공제 최대로 활용


20·30대 연금 전략 팁

  1. 목표는 세금 환급 + 장기 수익
    → 수익률보다 ‘꾸준함’과 ‘절세’를 먼저 챙기세요.
  2. ETF 투자 가능한 연금저축/IRP 증권사 선택
    → 예: 키움증권, 미래에셋증권, 토스증권 등
  3. 자동이체로 습관화
    → 월 20만 원씩 자동이체만 해도 1년 240만 원 확보

마무리: 지금 시작해야 이득이다

많은 20대·30대가 “아직 연금은 이르다”고 생각합니다.
하지만 시간은 복리의 마법을 부립니다.
월 20만 원만 30년 투자해도 수천만 원 차이가 납니다.

지금, 나만의 연금 통장 만들기, 시작해보세요.

Previous Article

ETF가 뭐예요? 직장인을 위한 투자 입문서

Next Article

민생회복지원금 & 소비쿠폰, 어디까지 알고 있나요? 총정리 (20조 원 규모)

Write a Comment

Leave a Comment

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. 필수 필드는 *로 표시됩니다